1comma2 2018. 1. 11. 15:32

sergeistrelec PE


편리하게 사용하는 PE들 중에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PE입니다.

윈도우가 큰 업데이트가 있은 이후 맞춰서 PE를 만들어서 제공해주는 외국분입니다.


한글은 없습니다.

러시아어, 영어가 있으니까 영어로 받아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배포된지 몇일되면, 우리나라에서 한글화한 변형pe들이 따로 배포되기 때문에 기다렸다가 그걸 사용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전 PE로 하는것이 윈도우 설치 및 복구등 기본적인 기능만 사용하기 때문에 딱히 한글화가 필요없기에 영문판으로 사용하곤합니다.


아래 다운로드 사이트를 통해서 배포하지만, 우리나라 사이트가 아니라 러시아 사이트이기 때문에 크롬등에서 보안을 확신하지 않기 때문에 불안하신 분들은 아는 사람을 통해서 구하시거나, 배포된지 몇일지났으니 이제 토렌트등 공유사이트를 통해서 퍼져있으니까 그걸 받으셔도 됩니다. 


다운로드 사이트

http://sergeistrelec.ru/winpe_10_8/101-winpe-10-8-sergei-strelec-x86-x64-native-x86-20170403-english-version.html


이런 PE를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는 이유는 한가지 입니다.

편하기 때문입니다. 저 pc의 기능들을 넣어서 pe를 제작한다는건 엄청난 시간과 노력을 잡아먹는 일이기 때문에 외국분에게 고마워하며 다운받아서 편리하게 사용중입니다.

(물론 요즘은 PE제작기라는 것들도 배포되고 있어서 pe만드는 것이 예전처럼 고된 작업은 아니지만, 그래도 이렇게 만드는것 자체도 쉬운일은 아니니까요.)


2018년 01월 몇일전에 업데이트 되어서 이미 다운로드 받아서 pe를 변경해뒀습니다.


전 특별히 fat32를 써야할 이유가 없어서 ntfs로 구워서 이용중입니다.

ntfs 로 사용시 몇몇 툴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fat32로 구워서 이용해주시면 됩니다.


pe로 부팅하면 이렇게 메뉴가 뜨게 됩니다. 필요하신 모드로 이용하시면 됩니다.

도스 명령을 통해서 친숙한 고스트프로그램등의 프로그램 이용도 가능합니다.


윈도우10 64비트 pe로 부팅한 화면입니다.

기본적으로 필요한 유틸들이 모여있습니다.

pe에서 넣어서 사용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유틸들은 웬만한것들은 모두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작권법에 어긋나는 녀석들도 있는듯 한데....러시아에서는 문제가 안되는지 몇년째 배포중입니다.